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인문/사회과학
국내저자 > 번역

이름:권택영

성별:남성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47년 (게자리)

직업:대학교수 번역가

기타:경희대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미국 네브라스카대학원에서 영문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작
2021년 9월 <램프를 켜고 거울을 보다>

저자의추천 작가 행사, 책 머리말, 보도자료 등에서 저자가 직접 엄선하여 추천한 도서입니다.
이 분야에 1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옵션 설정
25개
1.
“자크 라캉은 삶을 지배하는 것은 우리의 믿음과 달리, 의식이 아니라 무의식이라고 말한다. 무의식이 삶을 지배한다. 그 위력은 카산드라의 예언만큼 정확하고 운명적이다. 이것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을 풀어내는 하나의 실마리다. … 무의식은 다무라와 나카타를 비롯해 양성성의 오시마, 비극적인 사에키, 그리고 더 나아가 인간과 자연까지 하나로 묶는다. 무의식은 모든 생물과 무생물이 하나로 용해돼 숨 쉬는 거대한 바다였다. 카프카의 해변이었다. 만일 인간이 무의식의 폭력을 피할 수 없다면 우리는 삶에 대한 책임감을 어디에서 구해야 하는가. 이것이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궁극적인 탐색이다.”
2.
“자크 라캉은 삶을 지배하는 것은 우리의 믿음과 달리, 의식이 아니라 무의식이라고 말한다. 무의식이 삶을 지배한다. 그 위력은 카산드라의 예언만큼 정확하고 운명적이다. 이것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을 풀어내는 하나의 실마리다. … 무의식은 다무라와 나카타를 비롯해 양성성의 오시마, 비극적인 사에키, 그리고 더 나아가 인간과 자연까지 하나로 묶는다. 무의식은 모든 생물과 무생물이 하나로 용해돼 숨 쉬는 거대한 바다였다. 카프카의 해변이었다. 만일 인간이 무의식의 폭력을 피할 수 없다면 우리는 삶에 대한 책임감을 어디에서 구해야 하는가. 이것이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궁극적인 탐색이다.”
3.
전통적인 가족관계를 해체하고 여성의 권리를 주장해온 지난 세월의 노력이 자각과 실천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게 된 시대의 맥락에서 볼 때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다. 고양이의 죽음에 그토록 아파하는 것은 우리가 얼마나 고독했는지, 또 우리가 얼마나 불안한 시대에 살고 있는지, 우리의 사랑과 공감은 얼마나 약하고 실천하기 어려운 것인지 암시하는 것은 아닐까? 제목의 의미를 유추해나가는 과정 또한 이 작품을 읽는 한 가지 묘미가 된다.
4.
존재의 가벼움과 무거움, 어느 쪽이 옳은가. 니체의 영원한 재귀는 무거움이지만 실제요, 진실이다. 반면 우리의 삶은 단 한 번이기에 비교도 반복도 되지 않아 깃털처럼 가볍다. 질투 없이는 사랑할 수 없는 약한 테레자, 사비나의 외로운 삶. 토마시에게 테레자는 무거움이요 사비나는 가벼움이다. 일인칭이면서 전지적이요 직선이 아닌 반복서술, 그리고 가벼움과 무거움이라는 이분법의 와해, 그런 메타포에서 탄생한 인물들. 쿤데라는 시간의 흐름을 따르는 매끄러움과 개연성을 거부하는 실험적인 기법들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아픔과 삶의 한계를 표현하고 있다. 존재의 가벼움과 무거움, 어느 쪽이 옳은가. 니체의 영원한 재귀는 무거움이지만 실제요, 진실이다. 반면 우리의 삶은 단 한 번이기에 비교도 반복도 되지 않아 깃털처럼 가볍다. 질투 없이는 사랑할 수 없는 약한 테레자, 사비나의 외로운 삶. 토마시에게 테레자는 무거움이요 사비나는 가벼움이다. 일인칭이면서 전지적이요 직선이 아닌 반복서술, 그리고 가벼움과 무거움이라는 이분법의 와해, 그런 메타포에서 탄생한 인물들. 쿤데라는 시간의 흐름을 따르는 매끄러움과 개연성을 거부하는 실험적인 기법들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아픔과 삶의 한계를 표현하고 있다.
5.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6월 11일 출고 
〈꿈을 꾸었다고 말했다〉는 꿈의 언어로 폭력의 기원을 더듬는 특이한 서술을 보여준다. 한 가정의 붕괴를 통해 폭력의 기원을 탐색한 이 중편소설은 폭력이 만연한 우리사회를 잘 반영하고 있다.
6.
구효서의 〈풍경소리〉는 잔잔한 평화를 안겨주는 소설이다. ‘어디에서 태어나 어디로 가는가’라는 만물의 시원에 대한 여정이다.
7.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6월 10일 출고 
“제3의 현장이란 무엇인가. 결코 온전히 포착될 수 없는 과거. 주제와 대상 사이의 투명한 소통을 가로막는 제3의 어떤 것, 우리의 아성 속에 섞인 이물질, 얼룩, 타자이다. 타자는 피할 수 없이 우리 내부에 있다. 타자는 피랍자에게 납치범의 고백을 믿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또 타자는 담당 검사에게 죽은 납치범의 자살을 오해하게 만든다. 제3의 현장 그 자체가 곧 타자인 것이다. 『제3의 현장』은 오늘날 윤리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타자의 문제를 담고 있다.”
8.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6월 10일 출고 
“제3의 현장이란 무엇인가. 결코 온전히 포착될 수 없는 과거. 주제와 대상 사이의 투명한 소통을 가로막는 제3의 어떤 것, 우리의 아성 속에 섞인 이물질, 얼룩, 타자이다. 타자는 피할 수 없이 우리 내부에 있다. 타자는 피랍자에게 납치범의 고백을 믿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또 타자는 담당 검사에게 죽은 납치범의 자살을 오해하게 만든다. 제3의 현장 그 자체가 곧 타자인 것이다. 『제3의 현장』은 오늘날 윤리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타자의 문제를 담고 있다.”
9.
작가 데뷔 25주년을 기념하는 작품답게, 그의 다른 어느 작품보다 인간의 삶과 사회의 실존적 의미, 그리고 그 가치를 깊이 있고 예리하게 파헤쳐, 독창적 영상 표현기법을 구사해서 그려낸 야심작이다.
10.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6월 11일 출고 
《브리짓 존스의 일기》가 애인 없는 브리짓이 여러 남자를 만나면서 겪는 해프닝을 주로 다루었다면, 속편 《브리짓 존스의 애인》 에서는 브리짓이 새 애인 마크와의 관계에서 갈등하다가 오해하고 헤어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코믹하게 벌어진다. 현대의 연인들이 서로 오해하고 줄다리기하는 가운데 경험하는 갖가지 일들이 가벼우면서도 예리하게 나타나 있어, 누구나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공감하고 즐거워할 수 있을 것이다. 필딩은 오스틴의 꽉 짜인 플롯을 벗어나 일기체를 택했다. 이제 세상은 한 개의 틀만을 강요해서는 안 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싱글이든 기혼이든 동성애자든, 인간은 사랑을 원하면서도 상처받는 것을 두려워하는 민감한 짐승이다. 그리고 바로 이 사실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어 필딩의 소설은 가볍고도 무겁다.
11.
  • 판권 소멸 등으로 더 이상 제작, 유통 계획이 없습니다.
“30대 독신 여성의 삶을 통해 얻는 인생의 교훈” 쉽게 읽히는 경쾌한 문장, 늘었다 줄었다 하는 몸무게, 술, 담배, 복권……. 그녀의 일기는 자신이 정말 무엇을 원하는지 잘 모르는 현대인의 어리석음을 코믹하게 풍자하여 독자에게 읽는 즐거움과 깨달음을 준다. 그리고 인간은 어떤 삶을 영위하든 비슷하게 느끼며, 따라서 우리는 타인을 이해하고 마음을 열 줄 알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독자에게 전해주는 것이다.
12.
존재의 가벼움과 무거움, 어느 쪽이 옳은가. 니체의 영원한 재귀는 무거움이지만 실제요, 진실이다. 반면 우리의 삶은 단 한 번이기에 비교도 반복도 되지 않아 깃털처럼 가볍다. 질투 없이는 사랑할 수 없는 약한 테레자, 사비나의 외로운 삶. 토마시에게 테레자는 무거움이요 사비나는 가벼움이다. 일인칭이면서 전지적이요 직선이 아닌 반복서술, 그리고 가벼움과 무거움이라는 이분법의 와해, 그런 메타포에서 탄생한 인물들. 쿤데라는 시간의 흐름을 따르는 매끄러움과 개연성을 거부하는 실험적인 기법들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아픔과 삶의 한계를 표현하고 있다.
13.
이 소설은 무라카미 하루키가 데뷔 25주년을 기념하는 작품답게 그의 다른 어느 작품보다 인간의 삶과 사회의 실존적 의미, 그리고 그 가치를 깊이 있고 예리하게 파헤쳐, 독창적 영상 표현기법을 구사해서 그려낸 야심작이다.
14.
  • 판권 소멸 등으로 더 이상 제작, 유통 계획이 없습니다.
낯선 언어, 빼앗긴 어린 시절
15.
쉼게 읽히는 경쾌한 문장, 예측을 뒤엎는 사건의 연속, 현대 독신 여성의 삶을 코믹하게 풍자하면서도 약점에 대해선 따뜻하게 감싸는 시선이 읽는 즐거움을 더해 준다. - 권택영(문학평론가, 경희대 교수)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