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이이

성별:남성

출생:1536년, 강원도 강릉

사망:1584년

최근작
2024년 8월 <격몽요결>

이이

- 1536년(중종31년) 1세 : 12월 26일 강릉부 북평촌 외가에서 출생함. 부친은 이원수(李元秀), 모친은 신사임당(申師任堂), 본관은 덕수(德水), 字는 숙헌(叔獻), 號는 율곡(栗谷), 시호는 문성(文成)
- 1541년(중종36년) 6세 : 강릉에서 한양으로 올라옴.
- 1542년(중종37년) 7세 : 「진복창전(陳復昌傳)」 지음.
- 1543년(중종38년) 8세 :파주에 있는 화석정에 올라 「화석정(花石亭)」 시 지음.
- 1545년(중종40년) 10세 : 「경포대부(鏡浦臺賦)」 지음.
- 1548년(명종3년) 13세 : 진사초시에 장원급제함.
- 1551년(명종6년) 16세 : 5월 어머니 신사임당 별세, 「선비행장」을 지음. 파주 두문리에 어머니를 장례하고 3년간 시묘함.
- 1554년(명종9년) 19세 : 우계 성혼(1535~1598)과 도의의 교분을 맺음. 3월 어머니 시묘 3년을 마치고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함.
- 1555년(명종10년) 20세 : 금강산에서 강릉으로 돌아와 「자경문(自警文)」을 짓고 유학에 전념함.
- 1556년(명종11년) 21세 : 봄에 한양으로 돌아와 漢城試에 장원급제함.
- 1557년(명종12년) 22세 : 9월 성주목사 노경린(盧慶麟)의 딸 곡산 노씨와 혼인함.
- 1558년(명종13년) 23세 : 봄에 경북 예안 도산(陶山)을 방문하여 퇴계 이황을 만남. 겨울에 別試에서 「천도책(天道策)」으로 장원급제함.
- 1561년(명종16년) 26세 : 5월 아버지 이원수 별세.
- 1564년(명종19년) 29세 : 7월 생원 진사시에 장원급제함. 8월 明經試에 급제하여 호조좌랑으로 첫 벼슬길에 나아감.(모두 9번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 불림.)
- 1565년(명종20년) 30세 : 봄에 예조좌랑에 전임. 8월 요승(妖僧) 보우(普雨)와 권간(權奸) 윤원형(尹元衡)을 단죄하는 상소를 올림. 11월 사간원 정언에 임명되자 사퇴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불허.
- 1566년(명종21년) 31세 : 2월 병조좌랑에, 3월 다시 사간원 정언에 임명됨. 겨울에 이조좌랑에 임명됨.
- 1568년(선조원년) 33세 : 2월 사헌부 지평에 임명됨. 가을에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다 돌아와 홍문관 부교리 겸 경연시독관 춘추관기주관에 임명되어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함. 11월에 다시 이조좌랑에 임명되었다가 강릉 외조모 이씨의 병환으로 사직하고 강릉으로 내려감.
- 1569년(선조2년) 34세 : 6월 교리에 임명됨. 9월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 올림.
- 1570년(선조3년) 35세 : 4월 교리에 임명됨. 10월 병으로 사직하고 해주로 감.
- 1571년(선조4년) 36세 : 1월 이조좌랑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여름에 교리로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해주로 감. 6월 청주목사에 임명됨.
- 1572년(선조5년) 37세 : 여름에 부응교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파주로 돌아감. 8월에 원접사 종사관, 9월에 사간원 사간, 12월에 홍문관 응교, 홍문관 전한을 제수 받았으나 모두 사퇴함.
- 1573년(선조6년) 38세 : 7월 홍문관 직제학에 제수되었으나 3차례 상소를 올린 후 사임하고 8월에 파주로 돌아감. 9월 다시 직제학에 임명되어 사퇴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함. 겨울 통정대부 승정원 동부승지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으로 임명됨.
- 1574년(선조7년) 39세 : 1월 우부승지에 임명되어 「만언봉사(萬言封事)」를 지어 올림. 3월 사간원 대사간에 임명됨. 10월 황해도 관찰사에 임명됨.
- 1575년(선조8년) 40세 : 8월 홍문관 부제학으로 임명됨. 9월 『성학집요』를 지어 올림.
- 1576년(선조9년) 41세 : 우부승지, 대사간, 이조참의, 전라감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병으로 나아가지 않음. 10월 해주 석담에 청계당을 지음.
- 1577년(선조10년) 42세 : 1월 해주 석담에서 「동거계사」를 지음. 5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12월 『격몽요결』 지음.
- 1578년(선조11년) 43세 : 해주 석담에 은병정사를 지음. 3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6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 1579년(선조12년) 44세 : 5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 1580년(선조13년) 45세 : 5월 「기자실기」 지음. 9월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 12월 대사간에 임명.
1581년(선조14년) 46세 6월 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으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다시 예문관 제학으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8월 동지중추부사에 제수됨. 9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10월 호조판서에 제수됨. 11월 『경연일기』 완성
- 1582년(선조15년) 47세 : 1월 이조판서에 제수됨. 7월 선조의 명으로 「인심도심설」, 「김시습전」, 「학교모범」, 「사목(事目)」을 지어 올림. 8월 형조판서에 임명됨. 9월 의정부 우참찬에 임명되고 숭정대부로 특진. 10월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는 원접사가 되어 「극기복례설」을 지음. 12월 병조판서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 1583년(선조16년) 48세 : 2월 「시무육조」 지어 올림. 3월 경연에서 십만양병을 건의함. 6월 동인의 탄핵을 받고 파주로 돌아갔다가 7월에 석담으로 돌아감. 9월 이조판서에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 1584년(선조17년) 49세 : 1월 「육조방략」을 최후로 지음. 1월 16일 한양 대사동에서 별세함. 3월 20일 파주 자운산에 안장됨.
- 1624년(인조2년) : 문성(文成)의 시호를 받음.
- 1681년(숙종7년) : 문묘의 종사를 허락받음.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율곡 이이의 정치철학서 성학집요> - 2024년 7월  더보기

서序 신은 생각건대, 도는 오묘해서 형상이 없기 때문에 글로써 도를 표현한 것이옵니다. 사서와 육경에 이미 분명하고도 빠짐없이 적혀 있으니, 글로써 도를 구하면 이치가 나타날 것이옵니다. 다만 근심이 되는 것은 그 책의 규모가 너무도 방대해서 요령을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선정께서 먼저 ??대학??을 드러내어 규모를 잡았사옵니다. 성현의 천 가지 계책과 만 가지 교훈이 모두 여기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니, 이 책이야말로 요령을 잡는 법이옵니다. 서산 진씨 진덕수가 이 책을 미루어 넓혀서 ??대학연의??를 만들면서, 경전의 글들을 널리 인용하고 사적을 끌어다 쓰기도 하였습니다. 배움의 근본과 다스리는 차례가 환하게 조리를 갖추었으면서 임금에게 중점을 두었으니, 참으로 제왕이 도에 들어가는 지침이옵니다. 다만 권수가 너무 많고 문장이 방만하며 일을 기록한 글 같고 실학의 체계대로 엮은 게 아니니, 참으로 아름답기는 하나 좋은 것을 다 갖추지는 못하였사옵니다. 배움은 마땅히 넓게 해야 하고 지름길로 요약해서는 아니되옵니다. 다만 배우는 이가 목표를 정하지 못하고 마음을 굳게 세우지 못한 채, 먼저 넓히는 것만 일삼으면 마음과 생각이 전일하지 못하여, 버리고 취하는 것이 정밀하지 못해서 중요치 않은 것들로 인해 진실을 잃을 염려가 있습니다. 그러니 반드시 먼저 요긴한 길을 찾아 확실하게 문정을 열어 놓은 뒤에야 제한 없이 널리 배우고 연관된 것들로 미루어 가면서 학문이 향상될 것이옵니다. 더구나 임금이란 나라의 모든 일이 모이는 자리라서 일을 처리하는 때는 많고 글을 읽을 때는 적습니다. 만약에 줄거리를 잡아 종지 근본이 되는 중요한 뜻를 정하지 않고 오직 넓히는 데만 힘을 쓰면, 글을 대할 때 기억하고 외는 습관에 얽매이거나, 문장을 화려하게 꾸미는 것에 빠져서 궁리·정심·수기·치인의 도에는 참으로 얻는 것이 없을 것이옵니다. 신은 못난 선비로서 밝은 세상을 만났습니다. 전하를 우러러 바라보건대 천품天?이 총명하고 지혜로우십니다. 진실로 학문에 힘쓰시어 마음의 힘을 길러 성취해 나가 그 기량을 채우신다면 우리나라에서 요순의 다스림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천 년에 한 번 있을 놓쳐서는 안 되는 때입니다. 생각건대 신은 재주와 기량이 경솔하고 차분하지 못해 별 볼 일 없는 데다 학술이 또 엉성하고 흐지부지하여 거칩니다. 그러다 보니 규곽의 정성은 간절하오나 충성을 다할 방도가 없사옵니다. 가만히 생각건대, ??대학??은 본래 덕에 들어가는 문인데, 진씨의 ??대학연의??는 간결하지 못한 점이 있습니다. 진실로 ??대학??의 뜻을 본떠 차례를 나누고 성현의 말씀을 정선하여 충실히 채워, 절목을 자세하게 하고 말은 간략하게 하되 이치를 다하면 곧 요체를 잡는 방도가 여기에 있을 것이옵니다. 이것을 우리 임금께 올리는 일은 미나리와 햇볕을 바치는 것[芹曝之獻]과 같아 주위 사람들의 비웃음을 면치 못할 것이나, 반딧불이나 촛불 같은 작은 빛이라도 해와 달이 밝게 비추는 데 도움이 있을 것이옵니다. 이에 다른 일을 덮어 두고 사서와 육경, 선유의 학설과 역대의 역사서까지 깊이 탐색하고 널리 찾아서, 핵심이 되는 것을 채집하고 차례를 분류하고 번다한 것을 삭제하여 요점을 잡았습니다. 깊이 연구하고 반복해서 수정하여 두 해에 걸쳐 모두 다섯 편을 편성하였습니다. 1편의 통설은 수기와 치인을 합하여 말한 것으로, ??대학??에서 말한 밝은 덕을 밝히는 것[明明德]과,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新民]과, 지극히 착한 데 있는 것[止於至善]입니다. 2편의 수기는 ??대학??에서 말한 밝은 덕을 밝히는 것[明明德]인데, 모두 열 세 조목이옵니다. 1장은 총론이요, 2장은 입지입니다. 3장의 수렴은, 목표를 정해 흩어진 마음을 구하여 ??대학??의 기본을 세운 것입니다. 4장의 궁리는 ??대학??에서 말한 격물치지입니다. 5장은 성실[誠]이요, 6장은 기질을 교정하는 것[矯氣質]이요, 7장은 양기요, 8장은 정심인데, ??대학??에서 말한 성의·정심입니다. 9장의 검신이라는 것은 곧 ??대학??의 수신입니다. 10장은 회덕량 덕량을 넓히는 것이요, 11장은 보덕이요, 12장은 돈독인데, 이는 성의·정심·수기의 남은 뜻을 거듭 논한 것입니다. 13장은 그 공효를 논한 것으로서 수기가 지선에 있게 되는 것이옵니다. 3편을 정가라 하고, 4편을 위정이라 한 것은 ??대학??에서 말한 신민으로, 정가라는 것은 제가를 말함이요, 위정이라는 것은 치국평천하를 이르는 것이옵니다. 정가의 조목은 여덟 개인데, 1장은 총론입니다. 2장의 효경, 3장의 형내 아내에게 모범이 되는 것, 4장의 교자, 5장의 친친이라는 것은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처자妻子에게 모범이 되며, 형제간에 우애하는 도리입니다. 6장의 근엄, 7장의 절검이라는 것은 미진한 뜻을 미루어 연역한 것입니다. 8장은 공효를 말한 것으로, 곧 제가를 지선에 그치라는 것이옵니다. 위정의 조목은 열 개인데, 1장은 총론이요, 2장은 용현, 어진 이를 등용하는 것입니다. 3장의 취선, 선한 이를 취함이라는 것은 ??대학??에서 말한 “어진 사람이라야 능히 사랑하고 미워한다.”는 뜻입니다. 4장은 식시무, 시무를 알라는 것요, 5장은 법선왕, 선왕을 본받음입니다. 6장의 근천계, 하늘의 경계를 삼가라는 것는 곧 ??대학??에서 인용한, “은나라를 거울삼을 지어다. 준명 하늘의 큰 명을 따르기가 쉽지 않다.”는 뜻입니다. 7장의 입기강은 ??대학??에서 말한 “나라를 가진 자는 삼가야 할 것이니 치우치면 온 세상으로부터 죽음을 당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8장의 안민과 9장의 명교는 ??대학??에서 말한 “군자에게는 혈구의 도가 있으니, 효도하고 공경하게 하면 배반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10장은 공효로서 마무리 지은 것으로 치국평천하가 지극히 선함에 있게 되는 것이옵니다. 5편의 성현도통이라는 것은 ??대학??의 실적입니다. 이 모두를 합하여 ??성학집요??라 이름하였습니다. 끝으로 도를 전하는 책임을 성상께 바란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입니다. 전하께서 ‘5백 년마다 성왕이 나온다는 때[五百之期]’를 맞으시어 군사君師의 지위에 계시고 착한 것을 좋아하는 지혜와 욕심이 적은 어짊]과 일을 결단하는 용기가 있으시니, 진실로 처음부터 끝까지 쉬지 않고 학문에 힘쓰신다면 막중하고도 원대한 임무를 무엇인들 이루지 못하겠습니까. 다만 어리석은 신臣은 견문이 넓지 못하고, 지식과 생각하는 것이 투철하지 못하여, 차례를 갖추는 데 순서를 잃은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인용한 성현의 말씀은 천지에 세워 놓고 보아도 어긋나지 않고, 귀신에게 질정하여도 의심되는 것이 없으며, 뒷날의 성인이 보더라도 의혹할 것이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 어리석은 신하가 조리를 잘못 구분하였다고 해서 전현의 교훈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될 것이옵니다. 더러 어리석은 신이 한 번 터득한 말을 그 사이에 섞은 경우도 있사오나, 모두 삼가 성현의 교훈을 상고하여 거기에 맞도록 문장을 지었고, 감히 제 의견을 함부로 내뱉어 종지를 잃지는 않았사옵니다. 신은 여기에 정력을 다 바쳤사오니, 열람해 주시고 늘 책상 위에 두고 보신다면, 전하께서 천덕을 밝히시고 왕도를 이루시는 학문에 작은 보탬이 없지 않을 것이옵니다. 이 책은 비록 임금의 학문에 주안점을 두었사오나 실제로는 상하에 두루 통하는 글입니다. 배우는 사람들 중에 널리 보긴 하였으나 넘치는 지식을 추스르지 못하는 자도 여기에서 공功을 거두어 요약하는 방법을 얻어야 하고, 배우지 못하여 고루하고 견문이 좁은 자도 여기에 힘을 다하여 학문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정해야 합니다. 그러면 배움에는 빠르고 늦음이 있으나 모두 유익함을 얻을 것입니다. 이 책은 사서와 육경으로 가는 계단[階梯]입니다. 만약 부지런히 노력하기를 싫어하고 간편한 것을 편안히 여겨서, 학문의 공功이 여기에서 그친다면 이것은 그 문과 뜰만 구하고 그 방은 찾아 들어가지 못한 것이오니, 신이 이 책을 엮은 뜻이 아니옵니다. 만력 명나라 신종 연호 3년 을해년(1575년, 선조 8년) 가을 7월 16일에 통정대부 홍문관부제학 지제교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신 이이는 손을 모아 엎드려 절하옵고 삼가 서序를 쓰옵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