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남부 미시시피 출신으로 남북전쟁 참전자이자 강경한 보수주의자인 랜섬은 먼 친척이자 여성 참정권 운동가 올리브의 초대를 받아 보스턴을 방문한다. 두 사람은 우연한 기회로 올리브와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모임에 동행하는데, 이곳에서 여성의 고난에 대해 연설하는 버리나를 만나 동시에 호감을 느낀다. 랜섬은 버지나를 보고 한눈에 반했으며, 올리브 역시 그녀가 여성 해방의 첨병에 설 수 있음을 알아본 것이다. 버리나의 열띤 청혼자들과 그녀를 트로피처럼 내세운 부모를 피해 올리브는 버리나를 데리고 유럽으로 건너가고, 랜섬은 뉴욕으로 향한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보스턴으로 돌아온 올리브가 이제 대의를 위한 전진만이 남아 있다고 믿던 어느 날, 랜섬이 보스턴에 돌아온다.
돌봄과 연대감, 동지애, 로맨스에 기반한 두 여성 간의 관계를 일컫는 ‘보스턴 결혼’의 유래가 된 헨리 제임스의 중기 대표작. 여성 참정권 운동이 벌어졌던 19세기 보스턴을 배경으로, 올리브와 랜섬, 버지나의 기이한 삼각관계를 통해 남북전쟁 이후의 남부와 북부, 남성과 여성,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 사이에서 격변하는 시대의 초상을 그려냈다. 그의 소설 중 정치적 주제를 전면에 내세운 유일한 작품으로, 당대에는 실존 인물을 연상케 하는 작중인물과 보스턴이 품었던 진지한 열의를 희화했다고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혼란스러운 시대를 사실적으로 관조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중기를 대표하는 실험적 소설로 남았다. 최근 세계적으로 진보적 사회운동이 퇴조하는 국면에서 아직 끝나지 않은 페미니즘의 투쟁에 공명하는 독자들이 놓칠 수 없는 작품. 당대의 혹평과 후대의 찬사를 받으며 한 세기 반을 살아남은 19세기의 고전을 이제 현재의 빛으로 다시 읽는다.
- 소설 MD 박동명
이 책의 한 문장
진보의 흔적이 바로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진보가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그 점을 저는 꼭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훨씬 앞으로 더 나아가야 비로소 자신이 무엇을 해냈는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과학은 동시에 도달하지 않는다. 개인이 인공위성을 쏘고 인공지능이 운전을 대신해 주는 미래가 현실이 되었지만 지구인의 절반은 여전히 한 달에 한 번씩 생리통에도 처참히 패배한다. 남성의 생식기에 관해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여성의 생식기는 무관심의 장막 안에 숨겨져 있었다. 책에 나온 어느 과학자의 말마따나 "보려고 하지 않아서 보이지 않는 것들도 있다." 여성의 몸은 그 능동적, 수동적 무관심에 의해 과학으로부터 소외되어 왔다.
과학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자신의 질염을 계기로 여성의 몸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한다. 여성 3명 중 1명에게 질염이 발생하지만 현대의 과학은 아직 질 분비물의 구성조차 파악하지 못했고, 질염의 치료는 붕산을 써서 질 미생물 생태계를 망가뜨려버리는 식의 고전적 의학 기술에 머물러 있다. 이것은 문제다. 저자는 의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며 여성 생식기에 관련한 이야기와 연구를 모은다. 그는 학계의 뿌리 깊은 성편향과 여성의 몸을 둘러싼 수치심, 오명, 침묵을 파헤치는 동시에 여성의 몸을 완전히 새롭고 총체적인 시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과학자들을 만난다.
주제는 새롭고, 내용은 흥미롭고, 서술은 매끄럽다. 여성의 몸에 대한 과학의 무책임함, 그리고 그 무책임에 대한 한 여성의 호기심이 서로 얽혀가며 통쾌한 에너지를 뿜는다. 그간 여성의 몸은 우주보다, 심해보다 깜깜했지만 우리는 이제 더 이상 여성의 몸에 덧씌워진 어떠한 신비로움도 거부한다. 여성의 몸이 원하는 것은 오로지 동시대의 과학이다. 2024년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여성의 몸과 정신에 추천하는 책.
- 과학 MD 김경영
이 책의 한 문장
"여성의 질에 붕산을 넣다니, 너무나 구시대적입니다." 웰스의 말이다. "과학자 여러분, 그보다는 잘할 수 있지 않습니까?"
jtbc 뉴스룸 주말 단독 앵커, 유퀴즈 화제의 인물, 고나리자 진행자 등 다양한 수식어를 가지고 있는 아나운서 강지영의 첫 번째 에세이가 출간됐다. 아나운서가 되기까지의 지난했던 과정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자리에 오기까지의 그녀를 잡아준 단단한 생각들을 솔직한 문장으로 풀어냈다.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누구나 다양한 종류의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그 난관들을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이겨내는가가 한 사람의 인생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텐데,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시련들을 이겨낸 한 사람의 기록이자,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응원의 메시지다.
- 에세이 MD 도란
이 책의 한 문장
힘든 순간에도 의미는 존재했다. 결과와 상관없이 성실하게 임한 나의 선택에 대해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고, 노력해서 이뤄낸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아도 포기하지 않는 나의 의지에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의미 있는 삶을 목표로 하면서 나는 이전보다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실패해도, 예상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와도 적어도 의미를 둘 수는 있었기 때문이다. (p.182)
지렁이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당연히 별로 없을 것이다. 지렁이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아마도 징그럽다 (50%), 아무 생각 없다 (40%), 낚싯밥 (8%), 귀엽다(1%), 가엾다 (1%)로 구성되어 있지 않을까. 비 온 후 다음 날엔 심심치 않게 목격되지만 이 생물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많지 않다. 그런 지렁이에게 관심을 가진 대표적인 인물 3인. 첫째로는 찰스 다윈이다. 진화론으로 유명한 다윈은 장장 40년 동안 지렁이를 연구했지만 학계에서조차 별달리 관심을 주지 않았다. 두 번째로는 무민을 탄생시킨 토베 얀손이다. 그는 길거리에 두 동강 난 지렁이를 보고 머리와 꼬리를 생각한다. 그 누가 지렁이에게도 꼬리가 있다 생각했겠는가? 세 번째로는 이 책의 작가 노에미 볼라이다. 감각 있는 그림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 작가는 지렁이만 생각하다가 결국 '지렁이의 불행한 삶에 대한 짧은 연구'라는 긴 제목의 규정하기 어려운 책을 쓴다.
무언가를 사랑하는 과정에 맨 처음엔 호기심이 있다. '이 생물은 대체 무엇인가?'라는 관심에서 시작된 지렁이 탐색기는 지렁이에 대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우리 삶의 은유이기도 하다. 지렁이로 태어나 "이대로 사느니 차라리 신발 끈이 되겠다고 결심"하지만 될 수 없다. "다른 무엇이 되는 상상을 하며 돌멩이가 되려다 불행히도 감기에 걸린 지렁이"를 보면 실소가 터진다. 그리고 일순간 지렁이는 결국 지렁이일 뿐이구나 깨닫고야 만다. 이 문장엔 어떠한 비하나 안타까움이 없다. 지렁이는 그저 지렁이일 뿐이다. 이 당연한 명제의 의미를 평생 찾아 헤맬 모든 인간 동료에게 바친다.
- 유아 MD 임이지
책 속에서
지렁이는 꼭 무언가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생각합니다. 결국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을 텐데 말이에요. p.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