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팩토피아 1 : 잡학 상식 우리는 천천히 오래오래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뇌에는 종점이 없다."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갓 태어난 인간의 뇌는 백지와 같다. 뇌의 성장은 다른 신체기관과 달리 유전자에 각인되어 있지 않으며, 오로지 세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우리가 겪는 삶의 경험에 따라 뇌가 매 순간 새로운 지도를 그려나가는 것이다. 그렇게 뇌는 우리가 경험한 "공간과 시간의 그릇"이 되고, 인간은 죽는 날까지 결코 완성되지 않은 채로 살아간다.

"삶의 짜릿함은 우리가 지금 어떤 사람인가가 아니라 현재 어떤 사람이 되어가는 중인가에 있다."는 선언과 함께 <더 브레인>의 저자 데이비드 이글먼이 뇌과학의 최신 이슈를 깊이 있게 소개한다. <연을 쫓는 아이>의 작가 할레드 호세이니가 "모든 페이지가 마음을 꽉 채우는 아이디어와 눈부신 통찰력으로 가득하다."고, <진리의 발견>의 저자 마리아 포포바가 "겉보기에 아무런 관련도 없어 보이는 것들이 이해의 총합처럼 완전히 맞춰질 때의 황홀함으로 가득하다."라고 말하며 함께 읽은 책. - 과학 MD 권벼리
추천의 글
인간의 뇌는 기계와 다르다. 같은 설계도로 만들어진 100대의 기계는 같은 방식으로 세상을 인지하겠지만, 100개의 뇌는 저마다의 세상을 경험하고 꿈꾼다. 우리는 완제품으로 태어나지 않는다. 로봇으로 치면, 완성되어 나오자마다 회로와 배선을 스스로 다시 고쳐 꽂는다. 뇌는 매 순간 변하고 죽는 날까지 구성을 바꿔 나간다. 그렇게 우리는 끝까지 불완전한 존재인 동시에 변화무쌍한 존재다. (...) 내가 가장 좋아하는 뇌과학자의 신간을 망설임 없이 추천한다. - 장동선 (뇌과학자)

생생한 서술이 돋보이는 책. 아이작 아시모프 이후로 데이비드 이글먼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주의를 끄는 과학자는 없었다. - 월스트리트 저널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세상의 온갖 지식을 맛보는 팩트 세계"
팩토피아 1 : 잡학 상식
케이트 헤일 지음, 앤디 스미스 그림, 조은영 옮김 / 시공주니어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당연하게도 세상엔 많은 지식이 있다. 그렇지만 어떤 지식이 얼마나 있는지는 모른다. 대표적인 천재 아인슈타인에게 물어보아도 정확히 알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호기심이 많은 이들을 위한 맛보기용 책이 있으니 바로 <팩토피아>다. 과학 이론, 역사, 동식물을 따로 소개하는 다른 도서들과는 달리 모든 지식은 결국 연결되어 있음을 점선으로 표현하고 있다.

빅뱅으로 인해 기인한 우주의 탄생과 대왕 오징어의 뇌가 도넛 모양이라는 게 어떤 관련이 있을까? 만약 도넛 모양에 관심이 간다면 음식 이야기의 점선을, 대왕 오징어에 관심이 간다면 해양 생태 점선을 따라가면 된다. 속도감 있는 전개와 독특한 구성은 독서 내내 지루할 틈을 주지 않으며 호기심을 자극하며 정신없이 페이지를 넘기게 만들 것이다. 영국에선 연어를 수상하게 들고 있으면 불법이란 사실을 처음 알게 된 나처럼 말이다. - 어린이 MD 임이지
책 속에서
믿거나 말거나 태초에 우주는 이 손가락이 가리키는 점보다 수십억 배나 작았어 p.8
북트레일러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백신애의 소설을 최진영이 잇다"
우리는 천천히 오래오래
백신애.최진영 지음 / 작가정신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가족이 '나를 영 사람으로 여기지 않더라.'(17쪽)라는 이유로 '광인수기'를 쓰게 된 여성이 있다. "세상에 제 한 몸만 위하고 제 마음의 자유와 기쁨만을 위한다면 이렇게 미치광이가 되어야 하지 않는가요."(45쪽)라고 되묻는 '다락방의 미친 여자'의, 이 시대를 앞서간 이야기는 1930년대에 발표되었다. 2020년 소설집 <겨울방학>으로 제13회 백신애문학상을 수상한 <구의 증명>, <해가 지는 곳으로>의 최진영이 백신애의 미친, 정직한 여자들의 이야기를 이어 썼다.

'나에게도 갈 길이 명백히 나타났어요."(94쪽)라고 말하는 <혼명에서>의 인물처럼, 실제 백신애는 시베리아의 모험가로, 배우로, 항일 운동가로 짧은 생을 살았다. 백신애의 <아름다운 노을>의 순희와 정규의 이름이 최진영의 <우리는 천천히 오래오래>에서 되살아나 사람을 사랑하는 자신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한 인간의 목소리로 이어진다. 근대 여성 작가와 현대 여성 작가의 만남을 통해 한국문학의 계보를 톺아보는 시리즈 '소설, 잇다'가 시작된다. 백신애와 최진영의 만남을 시작으로 강경애와 한유주, 김말봉과 박솔뫼, 이선희와 천희란, 지하련과 임솔아의 만남 등이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 소설 MD 김효선
이 책의 한 문장
그들은 나에게 아름다운 보물이 되어 보고 싶고, 만지고 싶을 때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방 안 장롱 속에나 선반 위에 잠겨 있는 귀한 옥돌 되기를 원하는 것이랍니다. 그러나 S! 나는 불행히도 옥돌이 아니어요. 보물 되기를 또한 원치 않는답니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우리는 성장 중"
생리는 처음이야
하선영 지음, 이윤희 그림, 임영림 감수 / 작은코도마뱀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이제는 고전이 되어버린 소설 <해리 포터> 속 마법사들은 볼드모트가 너무 무서워서 감히 이름을 부르지 못한다. 오직 '그'라고만 할 뿐 혹시라도 이름을 들으면 경기를 일으킨다. 마법 세계를 벗어나 현실 세계로 돌아와도 볼드모트 같은 존재가 있다. 바로 생리다. 생리를 대체해서 부르는 말은 여러 가지다. '그날', '대자연', '마법'... 국제여성건강연합에 의하면 세계적으로도 월경을 뜻하는 은어는 5천여 개에 달한다고 한다. 대체 생리를 생리라고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기, 초경을 맞이한 12살 소녀들이 있다. 2차 성징을 시작한다는 설렘과 두려움이 공존한다. 또래 남자아이들이 놀릴까 봐 두렵기도 하다. 생리통에 시달리고 또 생리통이 심하면 얼마나 심하겠냐는 빈정거림의 시선도 받는다. 그러나 그들을 도와주는 양육자와 보건 선생님이 있다. 생리는 부끄럽거나 이상한 일이 아님을 알려주고 생리가 일어났을 때 해야 할 일을 가르쳐 준다. 생리를 하는 사람들은 이렇게 인류의 역사 기간 동안 서로를 도우며 성장하는 자들을 보살폈다. 이제는 긴 시간 동안 여전히 금기시되는 생리이야기를 본격적으로 할 때이다. 생리는 감추고 쉬쉬해야 할 일이 아니다. 혹시라도 그렇게 생각했다면 동화 <생리는 처음이야>로 물꼬를 트는 건 어떨까. - 어린이 MD 임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