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종로점] 서가 단면도
(0)

이수명 시인의 두번째 시론집이다. 첫 시론집 <횡단> 이후 7년 만에 선보이는 시 안팎의 두터운 사유들을 <표면의 시학>이라는 제목 하에 총 4부로 묶었다.

2010년 이후에 발표한 글들로 이루어진 이번 책은 시를 쓰는 순간에 밀착하여, 창작의 자리에서 시란 무엇인가에 대해 전개한 글들로 이루어진 1부, 한국 현대시의 좌표를 작성하기도 하고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의 시를 살펴봄으로써 현대성이나 시대성을 특정짓는 것이 무엇일까 고민한 글들로 이루어진 2부, 시인론과 작품론을 아울러 몇몇 시인들의 시집을 해설한 것으로 이루어진 3부, 세계의 시인들과 예술가들의 작품에 대한 단상으로 이루어진 4부로 합하여 있다.

첫문장
시를 쓴다는 것, 창 너머로 모래바람이 불고 있다. 창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한겨레 신문 2018년 8월 9일자
 - 동아일보 2018년 8월 18일자 '새로 나왔어요'

수상 :2022년 통영시문학상(청마문학상), 2019년 서라벌문학상, 2012년 노작문학상, 2011년 현대시작품상, 2001년 박인환문학상
최근작 :<내가 없는 쓰기>,<도시가스>,<나는 칠성슈퍼를 보았다> … 총 47종 (모두보기)
소개 :1994년 『작가세계』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 『새로운 오독이 거리를 메웠다』 『왜가리는 왜가리놀이를 한다』 『붉은 담장의 커브』 『고양이 비디오를 보는 고양이』 『언제나 너무 많은 비들』 『마치』 『물류창고』 『도시가스』, 산문집 『나는 칠성슈퍼를 보았다』, 연구서 『김구용과 한국 현대시』, 평론집 『공습의 시대』, 시론집 『횡단』 『표면의 시학』, 번역서 『낭만주의』 『라캉』 『데리다』 『조이스』 등이 있다. 박인환문학상, 현대시 작품상, 노작문학상, 이상시문학상, 김춘수시문학상, 청마문학상을 수상했다.

이수명 (지은이)의 말
『횡단』을 내고 7년 만에 두번째 시론집 『표면의 시학』을 묶는다. 시론은 시쓰기와 직접적 관련은 없다. 시로 향한 길을 내는 것이 아니라 시쓰기와 평행하게 달리는 일로 여겨진다. 시를 향해 낼 수 있는 길은 없는 것 같다. 시에서 나오는 길도 없기에 따라갈 수도 없다. 그러니 시론을 쓴다는 것은 방어적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언제나 시의 부재를 감수해야만 한다. 또한 가능하지도 않지만 시보다 앞서게 된다면 시의 존재를 일그러뜨리고 말 것이다. 이렇게 앞도 뒤도 아니고, 적절하게 들어설 수도 없다는 의미에서 시론은 시와 평행하게 달리기이다. 그러나 이것이 시론의 가능성이다.
개인적으로 이 달리기에 흥미로운 지점이 있다고 느껴왔다. 여기에는 거리두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자극하는 그 무엇이 있다. 시론은 적절하게 시와의 거리두기여서, 긴장을 내내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 거리로 인해 역설적으로 시와 가까이 있을 수 있다고 느끼기도 한다. 더불어 시론을 쓸 때 느껴지는 세속성, 여러 가정과 시도와 판단의 세속적인 오류가 주는 즐거움 역시 측량할 수 없다. 시쓰기는 판단이 아니고 일종의 모험이므로, 시론에서 판단의 놀이를 해볼 수가 있는 것이다. 시론이란 이렇게 저렇게 틀린 선을 불쑥 그어 선명하게 보는 일이 아닐까.
『횡단』이 주로 2010년 이전에 쓰인 글들을 모은 것이라면 이번 시론집은 2010년 이후에 발표한 글들로 이루어져 있다. 『횡단』에서 마주했던 시쓰기가 갖는 혼돈을 공유하면서 이번 시론집은 좀더 분화된 각도로 움직이고 있다. 혼돈의 지류를 따라 더 나아가 본 것이다. 혼돈의 표류이고 발산이랄까. 이러한 파고는 시쓰기의 곤란을 『횡단』에서처럼 전면화하고 있지만, 이번 시론집에서 새삼 맞닥뜨린 곤란 중의 하나는 ‘표면’이다. 시쓰기가 곤란한 것은 아마 시쓰기가 기어이 표면에 닿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언제나 표면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횡단’의 선들이 분방하게 움직이며 ‘표면’으로 나아간 모양새다. 그리하여 엉키고 흩어지는 선들이 출몰하는 ‘표면’이고 ‘표면의 시학’이다.
‘표면의 시학’이라는 말은 언뜻 선언적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의미 있는 무엇인가를 함의하지 않는다. 상징적인 탐구의 대상도 아니다. 말 그대로 시는 표면의 자리에 있고, 시론은 표면에 있는 시를 보는 것이라는 데에 지나지 않는다. 표면은 내면이 아니고 이면도 아니다. 보이는 부분이다. 따라서 시는 보이는 것을 보는 것이라는 생각이 여기에는 들어 있다. 시는 보이는 것을 잘 보게 하는 것이다. ‘표면의 시학’은 이러한 생각에 부합한다. 그것은 단지 표면을 본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가 눈을 가지고 있기에 보지 못하는 표면을 보게 해준다. 표면을 떠돌며, 표면을 가로지르며, 그러면서 한편으로 표면을 겨냥하는, 모순적으로도 보이는 시학이다.
보르헤스는 말년의 소품 「원반」의 마지막 부분에서 어느 왕의 입을 빌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오딘의 원반이오. 이것은 한쪽 면밖에 없소. 이 세상에 오직 한쪽 면밖에 없는 것은 이것 하나뿐이오.” 이 수수께끼 같은 대사에서 “한쪽 면밖에 없”는 것의 형체를 떠올리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소설은 그 형체를 묘사하지 않고 그것이 섬광처럼 반짝였고, 곧 사라졌고, 그를 본 화자가 평생(지금도) 그것을 찾아 헤매고 있다고 쓰고 있을 뿐이다. 한 면밖에 없는 이 원반에는 내면도 이면도 존재하지 않는다. 표면의 순간밖에 없다. 그리고 그 존재는 어쩌면 표면밖에 존재하지 않는 세계인 문학에 대한 일종의 우화에 가까운 것일지도 모른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시를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둘러싸고 시론을 개진한 것이 1부이다. 시를 쓰는 순간에 밀착하여, 창작의 자리에서 시란 무엇인가에 대해 전개한 것들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창작론에 이어지는 글들은 시에서 문제적으로 생각되는 것들을 다루고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시에서의 상상이나 은유, 묘사 같은 고전적인 전제들이 실제 시작 과정이나 특히 최근에 어떻게 달리 나타나고 있는지 추적하기도 하고, 시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을 가늠해 보기 위해 시에서의 옹호나 지향의 관점을 들여오기도 하였다. 뒷부분에서는 범주를 좀 더 확장하여 시를 정보나 인공지능의 담론들과 관련지어 보고 있다.
1부의 시론적 성격에 비해 다른 글들은 평문이라 할 수 있다. 2부는 시문학사를 의식하게 하는 글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현대시의 좌표를 작성하기도 하고,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의 시를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현대성이나 시대성을 특징짓는 것이 무엇일까를 고민해 본 글들이다. 3부는 시인론과 작품론을 아우른다. 이상이나 김구용의 문제적인 시에 대한 분석과 근래에 출간된 몇몇 시인들의 시집을 해설한 것이다. 한편의 시에 대한 천착에서부터 시집 해설에 이르기까지 해당 작품에 집중하여 쓴 것들이다. 그리고 4부는 세계의 시인들과 예술가들의 작품에 대한 단상을 담고 있다. 텍스트의 성격과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으로 이브 본느프와, 파울 첼란, 앤디 워홀 등의 작업을 다루었다.
책에 실린 글들은 근 7년에 걸쳐 쓰인 것으로, 또 발표 당시의 수록 지면의 성격에 따라 문체와 어조의 차이가 있다. 그 차이가 오히려 한 권의 시론집으로 성립하는 데 일조하기를 바라 마지않는 마음이다. 차이를 가능하게 해준 것은 다양한 문예지의 기획과 특집이다. 초대해준 많은 잡지들에 이 자리를 빌려 감사드린다. 무엇보다 한 권의 책으로 대화해 준 시인들, 사상가들, 예술가들에게 새삼스럽지만 너무도 당연한 존경을 바친다. 그들의 고민과 모색이 있기에, 문학과 예술의 역사가 있기에, 그들과의 동행 속에서 역사 너머를 품을 수 있다.
봄비가 내리는 아침이다. 아주 멀리까지 나아가는 비를 보면서 언제나 맞닥뜨리는, 시의 부재를 본다. 시의 부재 앞에 서 있기를 좋아한다. 부재가 넓을수록, 미세하게 시의 존재가 감지되는 까닭이다. 이렇게 아무 것도 아닌 것으로부터 다시 출발해야 할 것이다. 책을 만들고 고생해준 김민정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2018년 7월

난다   
최근작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날개를 가진 자의 발자국>,<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등 총 163종
대표분야 :에세이 13위 (브랜드 지수 491,845점), 한국시 20위 (브랜드 지수 45,963점),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24위 (브랜드 지수 109,064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