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5
1장 페미니즘 오류를 바로잡다
페미니즘의 다양한 관점과 이론 프레임/오세라비 17
중산층 언니들의 인정 투쟁 ‘페미니즘’/오세라비 29
셀러브리티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의 자기기만/박가분 33
신화가 된 페미니즘/박수현 38
시대착오적 페미니즘, 최대 피해자는 젊은 세대/오세라비 44
페미니즘, 정말로 성 평등을 지향할까?/박수현 52
유아인 ‘애호박 대첩’이 보여 주는 넷페미니즘의 민낯/박가분 59
모두가 알지만 ‘그들만’ 모르는 페미니즘 신뢰 상실 이유/박가분 66
여성은 진짜로 ‘타자화’ 됐을까/박수현 74
홍익대 회화과 누드모델 몰카 사건, 페미니즘이 그 원인/오세라비 79
‘탈코르셋 운동’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오세라비 83
페미니즘의 지적 사기, 맨박스/박수현 87
서울권 대학 총여학생회 폐지가 갖는 의미는?/박가분 92
2장 메갈리아·워마드 논란
‘메갈리아’는 사회병리 현상의 한 부분/오세라비 98
미러링 옹호자는 사실상 남성우월주의자/박가분 102
한서희의 트랜스젠더 발언, ‘개인적 일탈’일까/박가분 109
그 많던 메갈·워마드 옹호자는 어디로 갔을까/박가분 115
2차 가해로 얼룩진 혜화역 ‘워마드’ 시위, ‘박사모’와 판박이/박가분 119
혜화역 시위와 워마드 논란, ‘일부’의 일탈일까/박가분 128
워마드 몰카범 실형 판결의 의미는?/박가분 136
극단적 페미니즘 ‘워마드’ 등장 3년, 무엇을 남겼는지 복기해 보자/오세라비 141
3장 젠더 문제 바로 보기
남녀 임금 격차 ‘떡밥’의 숨겨진 진실/박가분 156
젠더 이슈, 남녀 대립 프레임이 무의미한 이유/박가분 164
한국 ‘성 격차 지수(GGI) 115위’의 진실/박가분 172
양성 징병의 전제 조건/박가분 178
통계청 수상작들, 여성계의 통계 왜곡을 폭로하다/박가분 183
저출산 대책, 남성 정책이 빠졌다/박수현 186
4장 미디어가 기울인 운동장
JTBC, 웹툰 독자 여혐으로 낙인찍다/김승한 194
진보가 메갈리아를 옹호하는 세 가지 심리/김승한 197
진보 언론의 민낯을 드러낸 《시사인》의 ‘메밍아웃’/김승한 202
대한민국 진보에게 메갈리아는 성역인가?/김승한 206
‘성희론 논란 SJ 레스토랑’ 조리돌림 나선 진보 언론/김승한 211
‘여성 차별 못 느꼈다’고 언론의 뭇매 맞는 김민희/박가분 214
《한겨레》, 젠더 감수성 이전에 ‘인권 감수성’부터 길러야/박가분 218
선동과 조작이 판치는 언론, 어떻게 봐야 할까/박수현 223
워마드 사건, 책임지는 진보 언론, 페미니스트는 왜 아무도 없나?/오세라비 228
JTBC 《뉴스룸》의 저널리즘, 이대로 괜찮나?/박가분 233
《오마이뉴스》의 가짜 뉴스 ‘성범죄 허위 신고율 0.5%’/박가분 237
《한겨레》 왜 ‘가난한 조중동’인가 했더니 - 당당위 집회 ‘극우’ 낙인/박가분 242
5장 문화 비평
왜 일부 웹툰 작가는 독자를 우습게 볼까/김승한 246
메갈리아 사태 이후 웹툰 업계, 내우외환 극복할 수 있을까/김승한 250
중식이밴드 논란과 퇴행적 진보/박가분 255
편견에 빠진 이지혜의 《너의 이름은》 - 페미니즘적 비평/박가분 264
‘진보적’ 법학자의 ‘후진적’ 메갈리아 옹호/박가분 274
서브컬쳐계의 ‘메갈 보이콧’ 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박가분 280
《앵무새 죽이기》와 미투 운동/오세라비 285
독일 여성 철학자 플라스푈러, 미투 운동의 비판과 새로운 길을 제시하다/오세라비 291
6장 정체성 정치의 행방
미국 민주당의 ‘정체성 정치’ 실패와 한국 진보 정당의 미래/오세라비 296
왜곡된 여성 할당제, 6·13 지방 선거 기초의원 비례대표 여성 당선인 97%/김승한 299
페미니즘, ‘정체성 정치’를 말하다/오세라비 303
스웨덴 총선과 ‘정체성 정치’의 몰락/박가분 308
조던 피터슨이 좌파에게 보내는 메시지/박가분 313
7장 인터뷰
SJ 레스토랑 사건, 누가 가해자고 누가 피해자인가/박가분 320
성범죄자 누명 벗은 박진성 시인 - “가장 악질은 《한국일보》와 탁수정”/박가분 335
하일지 소설가 - “인격 살해당했지만 새로운 소설 쓰겠다”/오세라비 354
하일지 소설가, 성추행 의혹의 진실을 말하다/오세라비 364
잘못 운영된 ‘인권’ 제도는 어떻게 ‘괴물’이 됐나/박가분 372
《한국일보》를 상대로 승소한 박진성 시인, 절망을 딛고 이후의 삶을 말하다/오세라비 405
조덕제, 통한의 심경을 밝히다/오세라비 417
에필로그 429
미주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