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8년, 68세의 노학자 퇴계가 17세의 소년왕 선조에게 바친 소책자이다. 퇴계는 무진육조소 3조에서 ‘성학을 두터이 하여 정치의 근본을 세우라’고 하여 성학이 정치의 근본임을 설파하고, 역대의 현인들이 쓴 글과 도표 가운데서 ‘도에 들어가는 문’과 ‘덕을 세우는 기초’가 될 만한 것을 정선하여 《성학십도》를 썼다.
퇴계는 이 책자를 올리며 ‘내가 나라에 보답한 것은 이 도뿐이다’라고 했다. 선조와 마지막 만남의 자리에서도 ‘소신이 충성하기를 바라고 가르침을 드리고자 하는 정성에서 바친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자신의 정성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는 심정으로 이 책을 지어 바친 것이다. 작은 책자이지만 퇴계의 평생의 삶과 학문의 정수가 응축되어 있다.
《성학십도》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학십도》를 개정판을 펴내며
《성학십도》를 펴내며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리는 차(箚)와 도(圖)
제 1 태극도 /「태극도설」(太極圖說)
제 2 서명도 /「서명」(西銘)
제 3 소학도 /「소학제사」(小學題辭)
제 4 대학도 /「대학경문」(大學經文)
제 5 백록동규도 /「동규후서」(洞規後敍)
제 6 심통성정도 /「심통성정도설」(心統性情圖說)
제 7 인설도 /「인설」(仁說)
제 8 심학도 / 심학도설(心學圖說)
제 9 경재잠도 / 「경재잠」(敬齋箴)
제10 숙흥야매잠도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논문] 이퇴계의《성학십도》연구
[원문]《聖學十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