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인천계산홈플러스점] 서가 단면도
|
2020년은 전태일이 세상을 떠난 지 50년이 되는 해다. 1970년 11월 13일, 청계천 평화시장 앞길에서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라고 외치며, 만 스물두 살 젊은 육신에 불을 댕긴 전태일. 그는 일기를 썼다. 평화시장 재단사로 일하던 열여덟 살 때부터 겪은 노동 현장의 참상, 그리고 그 참상 배후의 사회 모순을 해결하려 몸부림친 전태일. 그 몸부림을 세상에 전하고자 깨알같이 적은 공책 7권 분량의 ‘전태일 일기’는, 조영래 변호사가 쓴 <전태일평전>의 바탕이 되었다.
전태일이 떠난 지 50년, 조영래 변호사가 원고를 완성한 지 44년, 『전태일평전』 초판이 나온 지 37년이 지났다. 이 책에 실려 있는, 오늘의 독자는 상상도 하지 못할 평화시장의 비참한 장면들은 그 시대 우리 사회의 자화상이었다. 이제 그 기억을 잊어도 될까? 국민소득 3만 달러의 뒤안길에서 비정규직과 청년실업자, 영세자영업자들이 울고 있다. 어제의 전태일이 학교에서 밀려났다면, 오늘의 전태일은 직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전태일의 시대를 떠올릴 때, 우리는 기성세대로부터 보릿고개는 넘겼지 않느냐는 소리를 흔히 듣는다. 그것으로 지나간 모든 일이 양해될까? 성장은 사회를 구원하지 못했다. 인간은 밥 없이는 살 수 없지만, 그 만고의 진리가 인간더러 밥의 노예가 되라고 가르치지는 않는다. 만 스물두 살 젊은 육신에 불을 댕기며, 전태일이 이루려 했던 것. 그것은 바로 인간의 나라였다. 전태일의 외침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까닭이다.
: ‘좋은 게 좋은 거다’, 라는 말은 강자에게나 통용되는 말이다. 그리고 이 말은 자주 옳지 않다. 전태일은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나는 눈치가 보여서, 나 자신이 부끄러워서 아니라는 말을 속으로 삼키곤 했다.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말은 전태일의 말과 용기라고 생각한다.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할 줄 알아야 한다고. 그러므로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전태일을 읽을 시간이 되었다. : 그가 떠난 지 5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일터엔 청년 전태일이 품어주어야 할 청년들이 많다. 『전태일평전』은 청소년과 청년, 그리고 전태일을 이어주는 또 다른 연결 고리가 될 것이다. : 스스로가 실패한 인생이라고 생각할 때가 종종 있다. 생각했던 목표들, 이루지 못한 꿈. 그런 것들을 생각하다보면 채울 수 없는 공허함만이 남는다. 10대 시절 처음 읽었던 『전태일평전』, 그리고 20대의 끝자락에서 다시 만난 전태일. 희망을 잃지 않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새삼스레 깨닫게 된다. 나에게도 무언가를 나눈다는 것이 가능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 전태일이 노동자들의 인권을 위해 했던 일들은 어떤 방법을 통해, 또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가. 그때의 사회구조와 지금의 사회구조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책을 덮고 난 이후에도 나의 물음은 끝없이 이어진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한겨레 신문 2020년 9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