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종로점] 서가 단면도
|
<봉순이 언니> 이후 7년, 공지영의 신작 장편소설이 출간됐다. 작가는 이 소설을 쓰는 내내 이런 생각을 했다고 한다. "'생명'이란 살아 있으라는 명령"이며, "때론 살아서 이 생을 견디는 것이 죽음보다 괴로울 수도 있겠지만, 어떠한 목숨이라도 분명 유지할 가치는 충분하다."
한 여자가 있다. 나이는 서른 살, 살아 있을 이유도 살아갈 의지도 희망도 없다고 믿는 유정이라는 이름의 여자. 어린 시절의 아픈 기억으로 인해 피폐하고 위태롭게 살아가는 그녀는 삶에 발붙이지 못하고 목숨을 끊으려 한다. 세 번째 자살시도 후에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그녀는 지루한 치료과정 대신 수녀인 고모를 따라 한 달간 사형수를 만나는 일을 택한다. 자신이 마음을 내주는 유일한 사람인 모니카 고모의 간곡한 청이었기에 차마 거절하지 못하고 따라나선 것. 그곳에서 그녀는 세 명의 여자를 살해한 죄로 사형선고를 받은 윤수라는 남자를 만나게 된다. 생의 절망을 알아버린 그의 눈빛과 생의 벼랑 끝에서 웅크리고 두려워하는 표정에서, 유정은 너무나 익숙한 자신의 얼굴을 발견한다. 그 닮음 때문에, 또다시 자신의 상처를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 때문에, 그녀에겐 이 만남 자체가 버겁고 혼란스럽고 느껴진다. 하지만 일주일, 이주일... 시간이 흐르면서 여자는 남자의 깊고 어두운 내면을 들여다보기 시작한다. 그 과정은 결국 여자가 스스로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사람과 세상을 미워하고 증오하고 내치고자 하는 마음의 밑바닥을 정면에서 응시하게 되는 시간들이 슬프고 또 아프게, 아름답게 그려진다. 2006년 송해성 감독, 강동원.이나영 주연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어려운 시절, 젊은 것들이 시대와 피투성이의 싸움을 벌이던 그 무렵에 글쟁이들은 마음이 답답해지면 서로들 '인해문'을 하자고 그랬던 적이 있었다. 인간해방문학의 준말이라나. 나는 쉽게 '인생파'라고 고쳐 말했다.
평소 공지영의 글은 쉽게 읽힌다. 그 점이 장점이자 불만인데, 이번 소설은 나도 한복판에서 겪은 얘기이건만 읽기가 힘들고 몇 번이나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아아, 그맘때 누군가 스쳐지나간 독방 벽구석에 조그맣게 흘린 글씨로 이렇게 씌어 있었지. "존재하는 것은 행복합니다." : 오래도록 만나고 싶었다. 나를 뒤흔들고 눈물 흘리게 만드는 소설을. 공지영의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는 내내 나는 울었다. 화가 났다. 무슨 특별한 능력이 있어 그녀는 이런 소설을 써낸단 말인가? 공지영에게만 허락된 이 특별한 능력, 그것은 오로지 나 자신을 위해 살고 나만을 위해 존재하다가 나 자신만을 위해 죽고자 하는, 그러나 다 큰 어른이 되어서도 아기처럼 취급받는다는 것에 은밀한 기쁨을 느끼는 이 시대 키덜트(Kidult)들의 흉터투성이 生을 향한 연민에서 비롯되고 있었다. 성인이 되었지만 실은 열다섯 살에서 조금도 나아가지 못한 우리 시대 한 키덜트는 이제 마주 앉는다. 술에 취해 잠들었다가 다시 깨어나면 매를 드는 아버지를 죽여버리고 누군가 자신을 구원해주기를 기다리는, 그 인생의 첫 기억이 살의로 시작되는 한 사형수와. 그리고 말한다. 실은, 나도 같은 부분이 손상된 동종의 불구자라고. 그러니까 이제는 당신과 내가 진짜 이야기를 해보자고. 이들이 나누는 이 진짜 이야기는 착한 사람에게나 나쁜 사람에게나 골고루 빛을 뿌리는 저 햇살과도 같아서, 듣고 있으면 심지어는 쓰레기통에 처박힐 나의 생도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닫고 만다. 감히 단언하건데 이 소설을 다 읽고 난 뒤에 이제부터의 세상은 이제껏 당신이 살아왔던 세상과 절대로 같을 수 없을 것이다. : 2006 키워드로 읽는 올해의 책 제2편 : 재미와 공감을 탁월하게 포획해내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2009년 서울대학교 도서관 대출 순위 32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