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펴내면서 __ 5
■ 제1부 CIS 고려인문학의 어제와 오늘
CIS 고려인 문학사 개관
1. 서 언
2. 연해주 시기─ 항일의지와 사회주의 건설
3. 강제이주기─ 한글문단 위축과 정착의지 구현
4. 재건기─ 이주역사 복원과 하나 되기
4. 개혁개방 시기 ─ 정체성 재정립과 탈(脫)민족
6. 결 어__66
고려인문학 형성의 사회 문화적 배경
1. 서 언
2. ‘독자문예’와 ‘문예 페-지’
3. 콜호스, 원동 고려인 사회와 문학의 중심
4. 결 어
CIS 고려인 시문학의 전개 양상
1. 서 언
2. 민족의식과 항일의지의 전경화—연해주 시기
3. 생존을 위한 고투—강제이주기
4. 기억의 복원과 하나 되기—재건기
5. 민족정체성의 재정립—개혁개방 시기
6. 결 어
CIS 고려인 소설의 사적 흐름과 현주소
1. 서 언
2. 민족과 탈(脫)민족의 긴장관계
3. 한민족의 정체성과 언어
4. 결 어
■ 제2부 민족정체성 재정립, ‘경계인’ ‘민족’ 경계 넘기
CIS 고려인 시문학의 주제적 특성
1. 서 언
2. 민족적 정체성의 혼란 드러내기
3. 강제이주의 상흔 어루만지기
4. 결 어
탈북 고려인 시의 현실대응 양상
1. 서 언
2. 리진─ 억압에 대한 비판과 내면세계로의 침잠
3. 양원식─ 현실극복 의지와 일상에의 몰두
4. 박현─ 소비에트에의 착종과 고국 한반도
5. 정추─ 추방과 외로움, 로만적 인식
6. 결 어
무국적 고려인 시인 리진의 시세계
1. 서언, 갇힌 자의 언어
2. 총의 결의와 그 인내
3. 자작나무와 새의 시적 울림
4. 저녁에의 회귀와 부활__221
5. 결어, ‘경계인’ ‘민족’이라는 원죄와 그 대속__224
민족어의 자장(磁場), 민족의 경계 넘기__226
1. 서 언__226
2. 한민족문학, 세대문학, 경계인 문학__228
3. 민족어, 우화와 상징적 비판의 비수(匕首)- <행복의 고향>__232
4. 민족을 넘어, 민족과 세계의 임계(臨界)지대- <오늘의 벗>__239
5. 결 어__251
CIS 고려인 소설의 민족정체성 연구__254
1. 서 언 __254
2. ‘세계인’ 또는 ‘태초의 말씀’ - 아나톨리 김__260
3. 혼혈의식 또는 민족적 자각 - 강 알렉산드르__269
4. 결 어__277
1990년대 이후 CIS 고려인 소설 연구__280
1. 서 언__280
2. ‘사랑’- 불안한 시대 상황의 탈출구__283
3. ‘상실’과 ‘부끄러움’- 고려인의 자의식__289
4. 결어- ‘조선말’과 ‘한국어’의 간극__297
재러 고려인 작가 박 미하일 소설의 미학__300
1. 서 언__300
2. 고려인 이주사와 자기정체성 탐구__304
3. 예술, 민족과 탈(脫)민족의 균형 잡기__315
4. 결 어__322
CIS 고려인문학에 나타난 차별의 서사__324
1. 서 언__324
2. 소재의 다변화와 모색__328
3. 전쟁, 연합과 안으로부터의 차별__334
4. ‘얼마우제’와 ‘내지치’, 그 갈등과 화해__339
5. 결 어__345
이주 ‘기억’과 경계인의 위상__348
1. 서언__348
2. 프롤로그 배치, 혼종의 극 언어__350
3. 서사적 화자 등장, 편집자 기능__353
4. 3대의 가족구조, 두 가문의 대립__358
5. 아들의 죽음, 경계인으로서의 ‘낀’ 위치__362
6. 기억의 차단, 새 희망으로서의 후손__366
7. 결어, 경계인으로서의 위상__369
고려인 희곡작품 삽입가요의 극적 맥락과 기능__372
1. 서언__372
2. 「자식들」의 삽입 창작가요의 의미__375
3. 「강직한 녀성」 삽입가요의 구조와 기능__384
4. 삽입가요의 기능과 위상__391
5. 결어, 서정/서사의 융합과 전체/부분의 조화__396
■참고 문헌 __ 398
■찾아보기 __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