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1장 면역계의 개요 1
1.1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1
1) 선천면역(자연면역) 1
2) 적응면역(획득면역) 3
1.2 면역반응의 특징 4
1.3 면역세포 5
1) T 세포 5
2) B 세포 6
3) 항원제시세포 6
4) MHC에 제한된 T 세포 반응 6
1.4 클론 선택설 6
1.5 면역기능 장애 7
2장 면역세포 및 면역기관 8
2.1 조혈작용 8
2.2 면역계 세포 10
1) 대식세포 10
2) 과립세포 11
3) 비만세포 12
4) 수지상세포 12
5) 소포 수지상세포 12
6) 림프구 13
7) NK 세포 14
2.3 면역 조직의 구조와 기능 15
1) 골 수 15
2) 흉 선(가슴샘) 16
3) 림프절 16
4) 비 장 18
5) 피부 면역계 19
6) 점막 면역계 20
3장 선천면역 21
3.1 선천면역계에 의한 면역조절 21
3.2 선천면역계의 구성 22
1) 해부 · 물리적 방어체계 23
2) 호중구 24
3) 대식세포 25
4) 자연살해세포 25
5) 수지상세포 27
3.3 패턴인식 면역수용체 27
1) Toll-유사 수용체 28
2) TLR 신호전달 경로 30
3.4 선천면역 매개 분자 32
1) 항미생물 펩티드 32
2) 급성기 반응 단백질 32
3) 사이토카인 33
4) 케모카인 33
5) 지질분자 34
3.5 염증반응 34
1) 세포부착분자 35
2)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38
3) 혈장 유래 염증인자들 41
4) 염증반응의 단계 42
5) 항염증제 43
3.6 선천면역계의 종간 공유 44
4장 항원과 항체 46
4.1 항 원 46
1) 항원 및 면역원의 정의 46
2) 면역원성 결정 요인 47
3) 면역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 48
4) 항원결정기 (에피토프, epitope) 48
5) 혈액형 항원 49
4.2 항 체 49
1) 항체의 기본 구조 49
2) 항체결합부위 51
3) 항체가 매개하는 작용기작 52
4) 항체의 종류 및 생물학적 활성 54
5) 면역글로불린의 항원결정부위 56
6) B 세포 수용체 57
7) 단클론 항체 58
5장 항원-항체 상호반응 61
5.1 친화력과 결합력 62
1) 항체의 친화력 62
2) 항체의 결합력 64
5.2 특이성, 민감도, 재현성, 교차반응성 64
5.3 공정분석기술(PAT)과 표면 플라스몬 반향법(SPR) 65
1) SPR은 한 항원에 반응하는 여러 항체의 항원결정기에
대한 특이성을 검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66
5.4 침강반응 67
1) 겔 내에서 일어나는 침강반응은 침전선으로 보인다 67
2) 면역 전기영동법 68
5.5 응집반응 69
1) 응집억제 시험 70
5.6 면역입자분석법 70
5.7 방사면역측정법(RIA) 70
5.8 효소면역측정법(ELISA) 71
1) 간접 ELISA 72
2) 샌드위치 ELISA 73
3) 경쟁 ELISA 73
4) 증폭 ELISA 74
5) 화학발광검사 74
6) ELISPOT 측정법 74
5.9 웨스턴 블롯법과 면역 블롯법 75
5.10 면역침전법(Immunoprecipitation) 75
5.11 면역형광법 76
5.12 유세포 분석과 형광 77
5.13 바이오 칩 78
1) 칩(Chip)의 종류와 원리 79
6장 보 체 83
6.1 보체의 기능 84
6.2 보체의 구성 요소 84
6.3 보체의 활성화 85
1) 고전 경로 85
2) 대체 경로 87
3) 렉틴 경로 87
4) 막공격 복합체 87
6.4 보체계의 조절 88
6.5 보체의 생물학적 기능 90
1) 보체매개성 용해 90
2) 염증반응의 매개 91
3) 옵소닌화 91
4) 바이러스 감염의 중화 91
5) 면역복합체의 제거 92
6.6 보체 결핍증 93
7장 주조직적합성 항원과 항원제시 94
7.1 MHC의 중요성 94
7.2 발견 및 명명 95
7.3 MHC 유전자의 종류 및 기능 96
1) MHC class I 분자에 대한 유전자 96
2) MHC class II 분자에 대한 유전자 96
3) MHC class III 분자에 대한 유전자 97
4) 일배체형 97
5) MHC 분자의 유전자 지도 97
6) MHC 분자의 발현 및 조절 99
7.4 MHC class I 및 class II 분자의 구조 100
1) MHC class I 분자 100
2) MHC class II 분자 101
3) MHC와 다형성 101
7.5 MHC 기능 101
1) T 세포의 항원 인지 특성 102
2) 항원제시세포 및 기능 102
3) 항원 처리과정 및 제시 104
4) 항원제시 경로 105
7.6 MHC와 질병 110
8장 항원 수용체 111
8.1 B 세포 및 T 세포 수용체 유전자의 재조합 111
1) B 세포 수용체와 T 세포 수용체의 germ-line 유전자 구조 111
2) 유전자 재조합 112
8.2 B 세포 및 T 세포 수용체의 다양성 114
1) B 세포 수용체와 T 세포 수용체의 공통적 다양성 114
2) B 세포 수용체만의 다양성 114
8.3 B 세포 및 T 세포 수용체의 발현 114
1) B 세포와 T 세포의 발달 114
2) B 세포 수용체의 발현 115
3) T 세포 수용체의 발현 117
9장 T 세포의 발달과 활성 121
9.1 T 세포 발달의 개요 121
9.2 흉선에서 T 세포의 성숙 122
9.3 T 세포의 성숙 125
1) 흉선에서의 양성 및 음성선택 125
2) 음성선택의 자가관용 확인 126
3) 양성 및 음성선택의 필수요소 126
4) 흉선 선택과 관련된 몇 가지 핵심적인 문제 128
9.4 T 세포의 분화 131
1) 활성화된 T 세포의 작용 및 기억 T 세포의 생성 131
2) CD4+CD25+ T 세포 아집단의 면역반응 억제 132
3) 항원제시세포들의 특징적인 공동자극의 성질 132
9.5 T 세포의 활성 133
9.6 세포자멸사와 T 세포 집단 141
10장 B 세포의 발달과 활성 144
10.1 B 세포의 발달 144
1) B 세포 발달의 시작 144
2) 미성숙 B 세포로의 분화 145
3) Pre-B 세포 수용체 (Pre-BCR) 145
4) B 세포 발달에 필요한 전사인자 146
5) 세포표면 항원 147
6) B-1 세포 및 B-2 세포 147
7) 자가항원에 반응하는 B 세포의 선별 148
10.2 B 세포 활성과 분열 148
1) 흉선-의존성 및 흉선-비의존성 항원에 의한 반응 148
2) 항원과 B 세포 수용체의 결합을 통한 신호전달 149
3) B 세포 공동수용체 151
4) TH 세포와 B 세포의 상호작용 152
10.3 배중심 및 항원에 의한 B 세포 분화 153
1) 친화력 성숙 153
2) 항체의 클래스 전환 154
3) 기억세포와 형질세포의 형성 155
10.4 체액성 면역반응 156
1) 체액성 면역반응의 일반적 특성 156
2) 체액성 면역의 1차 반응과 2차 반응 157
3) 배중심에서 유도되는 체액성 면역반응 158
11장 사이토카인 160
11.1 사이토카인의 특성 161
1) 국소적 작용 161
2) 수용체에 대한 높은 친화력 161
3) 다면성과 중복성 161
4) 다른 사이토카인과의 상승 및 길항 작용 161
5) 사이토카인의 구조 161
6) 사이토카인의 기능 163
11.2 사이토카인 수용체와 신호전달 163
1) 수용체의 분류 163
2) 사이토카인의 신호전달과정 164
3) 사이토카인의 길항제 165
11.3 선천면역반응 조절 사이토카인 165
1) 종양괴사인자 165
2) 제1형 인터페론 166
3) 인터루킨-1 (IL-1) 167
4) 인터루킨-6 (IL-6) 167
5) 인터루킨-10 (IL-10) 168
6) 인터루킨-12 (IL-12) 168
7) 인터루킨-15 (IL-15) 169
8) 인터루킨-18 (IL-18) 169
9) 인터루킨-23 (IL-23) 169
10) 선천면역과 염증에서 사이토카인의 역할 169
11.4 적응면역반응 조절 사이토카인 169
1) 인터루킨-2 (IL-2) 170
2) 인터루킨-4 (IL-4) 170
3) 인터루킨-5 (IL-5) 170
4) 인터루킨-13 (IL-13) 171
5) 인터페론-γ (IFN-γ) 171
6) 전환성장인자-β (TGF-β) 172
7) 림포톡신 (LT) 172
8) 인터루킨-17 (IL-17) 172
9) 인터루킨-21 (IL-21) 172
10) 적응면역에서 T 세포 사이토카인의 역할 173
11.5 조혈작용 사이토카인 173
1)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173
2) 과립구-단핵구-집락자극인자 (GM-CSF) 173
3) 줄기세포인자(SCF, c-kit 리간드) 173
4) 인터루킨-3 (IL-3) 173
5) 인터루킨-7 (IL-7) 173
6) 인터루킨-11 (IL-11) 174
11.6 사이토카인과 관련된 질병들 174
1) 패혈쇼크에서 나타나는 IL-1과 종양괴사인자의 과다 생성 174
2) 림프종과 골수암에서 나타나는 IL-6의 활성 174
3) 샤가스병에서 나타나는 IL-2 수용체 발현 감소와 연관 174
12장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 175
12.1 세포성 면역 175
1) 세포성 면역반응의 유형 및 특성 175
2) 작용 CD4+ T 세포 (Effector CD4+ T lymphocyte) 177
3) 작용 CD8+ T 세포: 세포독성 T 세포 183
4) 기억 T 세포 186
12.2 체액성 면역 187
1) 체액성 면역의 개요 187
2) 미생물 및 미생물 독소의 중화 187
3) 항체 의존성 미생물의 탐식작용 및 세포독성 188
13장 미생물에 대한 면역 192
13.1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192
1) 비특이적 면역 192
2) 특이적 면역 193
3) 외독소를 생성하는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193
4) 전신감염에 대한 면역 193
5) 면역반응으로부터의 도피기전 194
13.2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195
1) 비특이적 면역 195
2) 특이적 면역 196
3) 면역반응에 의한 바이러스 질환의 변형 197
4) 바이러스의 면역반응 도피기전 197
13.3 진균류에 대한 면역 197
13.4 원충 및 연충에 대한 면역 198
1) 비특이적 면역반응 199
2) 특이적 면역반응 199
3) 면역반응으로부터의 도피기전 199
14장 백 신 201
14.1 수동면역과 능동면역 202
1) 수동면역 202
2) 능동면역 203
14.2 능동면역용 백신고안 206
1) 백신개발 시 필수조건 206
2) 면역기억력의 중요성 206
3) 능동면역용 백신의 장 · 단점 206
14.3 약독화 생(균)백신 207
1) 약독화 백신의 종류 207
2) 약독화 백신의 장 · 단점 208
14.4 불활성화 백신 또는 사백신 208
1) 불활성화 백신(사백신)의 제조 208
2) 사백신의 장 · 단점 208
14.5 서브유닛 백신 208
1) 독소를 사용하는 백신 209
2) 다당류 협막을 사용한 백신 209
3) 재조합 기법에 의한 병원균의 단백질 생산 209
4) 합성펩티드(synthetic peptide)를 이용한 백신 개발 209
14.6 접합백신 209
1) 항탄수화물 항체의 효과 210
2) 다가서브유닛 백신 210
14.7 재조합벡터 백신 211
1) 벡터의 종류 211
14.8 DNA 백신 211
1) DNA 백신의 장점 211
2) DNA 백신의 효능 211
3) DNA 백신에 대한 사회적 반론 212
15장 과민반응 214
15.1 IgE-매개성(제1형) 과민증 215
1) 제1형 과민반응의 참여성분 215
2) IgE 교차결합에 의한 탈과립화 217
3) 제1형 과민반응의 종류 220
4) 과민반응 임상검사법 221
5) 제1형 과민증의 치료 (의약학적 제어) 222
15.2 항체-매개 세포독성(제2형) 과민증 224
1) 수혈반응 224
2) 신생아 용혈병 225
3) 약물 유도 용혈성 빈혈 226
15.3 면역복합체-매개(제3형) 과민증 227
1) 국소성 제3형 과민반응 227
2) 전신성 제3형 과민반응 227
15.4 지연형(제4형) 과민증 228
1) 단계별 DTH 반응 228
2) DTH 반응에서의 사이토카인의 역할 230
3) DTH 반응의 피부 검사 230
4) 접촉성 피부염 230
16장 면역관용 232
16.1 면역관용의 일반적인 형태와 기전 233
1) 면역관용의 형성과 유지 233
2) 자기반응 T 및 B 세포의 발달을 억제하는 중추관용 235
3) 순환하는 자기반응 세포들에 대한 말초관용의 조절 237
4) 말초관용의 한 구성요소인 조절 T 세포 238
16.2 T 세포 관용 239
1) T 세포의 중추관용 239
2) T 세포의 말초관용 240
16.3 B 세포 관용 246
1) B 세포의 말초관용 247
16.4 외래 단백질 항원에 의한 면역관용 유도 248
16.5 면역계의 항상성: 면역반응의 종결 249
16.6 자가항원을 보호하는 수단: 항원 격리 250
16.7 면역관용 실패로 인한 자가면역 250
17장 자가면역 251
17.1 장기 특이적 자가면역질환 251
1) 직접적인 손상에 의한 자가면역질환 251
2) 자가항체의 자극이나 방해에 의한 자가면역질환 252
17.2 전신성 자가면역질환 253
1) 전신홍반루푸스 253
2) 류마티스성 관절염 253
3) 다발성 경화증 253
17.3 가능한 자가면역 유도기전 254
1) 특정 조직에 격리되어 있던 항원의 방출 254
2) 분자수준의 유사성 255
3) 부적절한 MHC class II 분자의 발현 255
4) 다클론 B 세포 활성화 256
17.4 자가면역질환의 치료 256
1) 염증반응의 제어 256
2) 활성화된 T 세포의 제어 257
3) 면역관용의 유도 257
18장 이식면역 258
18.1 동종이식에 대한 면역반응 259
1) 동종항원의 인식 259
2) 동종반응성 림프구의 활성화와 동종이식편 거부 261
18.2 동종이식편 거부 기전 263
1) 초급성 거부 263
2) 급성 거부 264
3) 만성 거부 265
18.3 동종이식편 거부반응의 예방과 치료 265
1) 동종이식편 거부 면역반응 억제 265
2) 동종이식편의 면역원성 억제 267
3) 면역관용 유도 267
18.4 이종이식 269
18.5 수 혈 269
18.6 골수이식 270
1) 이식편대 숙주질환 270
2) 골수이식 후 면역결핍 현상 271
19장 종양면역 272
19.1 암의 기원과 용어 272
19.2 악성 세포로의 형질전환 273
19.3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의 증거 273
19.4 종양면역의 일반적 특성 273
19.5 종양관련항원 273
19.6 종양항원의 특성 274
19.7 종양태아성항원 274
1) 알파-페토프로테인 274
2) 암배아성항원 274
19.8 바이러스성 종양에서의 종양관련 이식항원 274
19.9 화학물질에 의해 유도된 종양관련 이식항원 275
19.10 면역감시로부터의 회피 275
19.11 종양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서 종양 신생항원의
이용 275
1) 면역진단 275
2) 면역치료법 275
19.12 암백신 277
20장 면역결핍 280
20.1 1차 면역결핍 280
1) B 및 T 세포와 관련된 림프계 면역결핍 281
2) 골수계 면역결핍 284
3) 보체계의 결함 285
4) 결함요소의 대체에 의한 면역결핍의 치료 286
20.2 AIDS와 그 외 2차 면역결핍 286
1) HIV/AIDS의 심각성 286
2) 성접촉, 감염된 혈액 또는 수직감염으로 전파되는 HIV-1 287
3) AIDS의 원인인 역전사바이러스 HIV-1 287
4) HIV-1의 복제주기 288
5) HIV-1 감염과 기회감염 289
6) 역전사바이러스의 복제 저해제 291
7) 백신개발을 통한 AIDS의 예방 및 치료 292
21장 면역 치료제 294
21.1 치료용 단클론항체 294
1) 치료용 단클론항체의 특징 294
2) 치료용 단클론항체 제작 295
3) 치료용 단클론항체의 종류 및 작용기작 296
21.2 치료용 백신 298
1) 백신의 원리와 치료용 백신의 등장 298
2) 치료용 백신의 종류와 향후 발전 가능성 299
21.3 치료용 사이토카인 300
1) 치료용 사이토카인의 종류 및 임상적 응용 300
2) 사이토카인의 개발방향과 발전 가능성 300
21.4 면역 유전자 및 세포 치료제 302
1) 유전자 치료제의 원리와 작용기전 302
2) 세포 치료제의 개발과 작용기전 302
3) 유전자 및 세포 치료제의 임상적 응용 303
21.5 기타 면역 치료제들 303
1)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면역 치료제들 303
2) 면역 치료제의 향후 과제 및 기대효과 305
찾아보기 307